한 번은 케냐의
마사이 족을 방문했는데
그곳에서 선교하는
안찬호 선교사님이
한 가지 제안을 했다.
“목사님! 이곳에 오면
꼭 거쳐 가는 코스가 있습니다.
원주민들이 사는 곳에서
하룻밤을 묵어야 합니다.”
나는 선교학을 공부하고
문화인류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호기심도 있었고,
‘목사로서
그 정도도 못하겠는가’라는
생각을 하고 흔쾌히 허락했다.
그리고 어느 집에서
잠을 자게 되었다.
집에 들어 가자마자
느껴진 것은 메케한 냄새였다.
그 집은
소똥으로 지어 졌는데,
안은 소똥을 태워 온기를
느끼도록 되어 있었다.
깔 것이나
덮을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나무 바닥에 누워
잠을 청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뭔가 스멀스멀
몸에 기어 다니는 것 같아
좀처럼 잠들 수가 없었다.
아침에 일어난 나는
내 몸을 보고 깜짝 놀랐다.
가려워 긁었던 곳마다
빈대와 벌레들이 터져서
죽어 있었고,
하얀 셔츠는
피로 물들어 있었다.
한국에 도착한 후로도
1주일 동안이나 온몸이
가려워 고생을 했던 기억이 있다.
나는 그때 구한말
한국에 왔던 선교사들을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선교하며
평생을 함께한 미국과
캐나다 선교사들은
얼마나 견디기 힘들었을까?
그러나 그들이
하나님의 마음으로
이 땅 조선을 바라보지 않았다면
이 땅에 복음이 들어올 수 있었을까?
온갖 멸시를 받으며,
조롱을 받으며,
생명의 위협을 당하는
순간들을 어떻게 견딜 수 있었을까?
우리는 조그만 모욕도,
불이익도 참지 못하는데 말이다.
그리고 결론 내렸다.
그것이야 말로
진정한 사랑이라는 것을 말이다.
출처:김병삼목사의
<하나님을 눈물나게 하는 이야기>
중에서
'풍경이 있는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의 날개를 펼쳐라 (0) | 2019.04.16 |
---|---|
나는 오른 팔이 없는 게 아니고 오른 팔 빼고는 다 있다 (0) | 2019.04.16 |
희망 칸타타 (0) | 2019.04.16 |
하나님의 확률 (0) | 2019.04.16 |
깨지기 쉬운 그릇 (0) | 2019.04.16 |